go_bunzee

모임 [예창사전인큐합격] 교육자 전용 행정 관리 웹 서비스

project

[projectLocation3String.KR01] [예창사전인큐합격] 교육자 전용 행정 관리 웹 서비스

  • peering

    peering

    (phone_verification) 1일전 login
  • is_recruitingprojectStatusString.02
    0

    recruiting_status_title

    • jobDetailString2.0403

      0/1
    • jobDetailString2.0501

      0/1
    apply_input ✍️ (total5unit_count) applyInputString.email, applyInputString.type, applyInputString.reason, applyInputString.career, applyInputString.pf

    platform_title

    platformString.01

    ai_analysis_title

    ai_analysis_desc
    해당 프로젝트의 분석을 아래 여섯 가지 관점에서 진행하겠습니다:
    1) **주요 소비자의 특성이나 규모 및 니즈 분석:**
    - **단기 관점**: 특수교육 분야 교사 및 행정 담당자들이 주요 소비자입니다. 이들은 업무 과중을 해소하기 위해 즉각적인 업무 효율화가 필요합니다. 초등학교 및 중학교의 특수교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단기적으로 효과적인 솔루션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중기 관점**: 계속 성장하는 특수교육 분야로 인해 중기적으로는 더 넓은 범위의 교육 기관까지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특수교육에 대한 외부 지원이나 정책 변화로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장기 관점**: 특수교육 분야뿐 아니라 일반 교육 시장 및 사교육 시장까지 범위를 확장하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국제 시장으로까지 서비스 제공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2) **현재 시장성과 향후 3년간 시장 추세 및 경쟁업체:**
    - 현재 특수교육 분야의 공급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시장 진입 시 성과를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향후 3년동안 특수교육과 관련된 법안 개정 및 사회적인 인식 변화에 따라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입니다.
    - 예상 경쟁업체로는 교육 관련 SaaS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 있을 수 있으며, 외국 기업이 한국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기존의 종합 교육 관리 솔루션과의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3)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차별화 기능이나 전략:**
    - **특수교육 필수적인 기능 제공**: 특수교육 학교의 커리큘럼 및 특징을 반영한 맞춤형 기능 제공.
    - **높은 사용자 직관성**: 사용이 쉬운 인터페이스와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으로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인식 구축.
    - **데이터 기반의 솔루션 제공**: 학습 및 행정 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교육 솔루션 제공.
    4) **출시 플랫폼의 우선순위와 이유:**
    - **모바일 앱**: 교사들이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PC 웹**: 학교 내에서의 전반적인 행정 업무와 데이터 분석을 위한 보다 복잡한 기능 활용 가능.
    - 모바일 기기의 보편성으로 인해, 먼저 모바일 앱을 통해 접근성을 높인 후 복잡한 기능은 웹에서 제공하는 전략이 효율적일 것입니다.
    5) **초기 시장 진입 전략:**
    - **특수교육학교와의 파트너십 구축**: 초기 시장에서 급히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는 학교와 협력.
    - **정부 및 공공기관과 협업**: 정부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해 더 많은 교사 및 교육기관에 홍보.
    - **테스트 사용자 그룹 운영**: MVP 테스트를 통해 실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
    6) **시장 확대 전략:**
    - **기능 확장**: 초기 출시 이후 특수교육뿐만 아니라 일반 교육 및 사교육을 대상으로 기능 확장.
    - **국제 시장 진출**: 국내 시장에서 성공 후 타국의 특수교육 시장으로 확대.
    - **지속적인 사용자 피드백 반영**: 사용자 커뮤니티를 통한 지속적 피드백 반영으로 서비스 만족도 향상.
    위와 같은 전략 및 분석을 통해 특수교육 분야 SaaS 서비스의 성공적인 시장 확보와 확장이 가능할 것입니다.

    introduction

    0. 프로젝트 동기

    경쟁사가 전무하여 수요는 많으나 공급은 부재한 특수교육 분야, 업무 과중은 심화되고 특수교육대상 아동들은 늘어나고 있습니다.

    피어링과 함께 특수교육 분야의 환경을 바꾸고, 나아가 일반교육과 사교육 전반의 행정 업무 솔루션을 개발해나갈 팀원을 찾습니다.

    1. 프로젝트 소개

    안녕하세요, 특수교사의 행정 업무 과중을 해소하는 SaaS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는 팀 피어링입니다.

    지난 5월 첫 출발한 피어링은 현재까지 총 700만 원의 지원금을 유치하고 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현재는 대학 단위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과 예비창업패키지 사전인큐베이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피어링 상표권과 특허 임시 출원 상태로 본 서비스를 출시하기 예비창업 단계의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시점입니다.

    빠른 성과와 효율적인 업무 방식을 지향하는 피어링팀과 함께 서비스를 만들어 갈 개발자를 모집합니다.

    현재 팀 구성 및 회의 방식

    (1) 운영/마케팅

    사내 마케팅 팀 3회 근무 경력으로 노련한 마케팅 실력과,

    20대 이후 3회의 창업 경험으로 창업 생태계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난 창업가

    창업 관련 수상경력 5개 이상 보유로 지원금 유치 및 효과적인 운영 가능

    (2) 기획자

    특수아동 대상 꾸준한 교육은 물론, 대학 강의를 한 적도 있을 정도로 특수교육 분야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보유한 창업가

    언어병리학과 교수 등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 보유로, 서비스 확장 및 레버리지 확보 가능

    [모집 분야]

    • - 프론트엔드 개발자 (1명)

    • - 백엔드 개발자 (1명)

    [모집 대상/프론트엔드]

    • - Next.js 기반 SSR/CSR 웹 서비스 개발 및 운영

    • - React Query 기반 데이터 연동 및 상태 관리

    • - (우대) 서비스 출시 경험 및 성능 최적화 경험이 있으신 분

    • - (우대) Github 기반 협업 경험이 있으신 분

    [모집 대상/백엔드]

    • - 주도적으로 웹 개발을 이끌어나갈 수 있으신 분

    • - AWS 기반 서비스를 운영해보았거나, 기술 안정성에 대한 이해도가 있으신 분

    • - (우대) 사이드 프로젝트 및 서비스 배포 경험이 있으신 분

    • - (우대) OCR API 활용 경험이 있으시거나 활용 방법을 알고 계신 분

    [사용 협업 도구 및 진행 방식]

    • - 툴: Github, Notion, Figma, 카카오톡

    • - 진행 방식

      • (1) 주 1회 온라인 회의 진행

      • (2) 필요 시, 주 1회 오프라인 회의 진행 (서울): 사전에 일정 조율 및 논의 있을 예정임.

    [제공 혜택 및 장점]

    • - 공간 지원: 연세대 Y-Valley 입주 상태로 개발 및 회의 공간 지원

    • - 개발 비용 지원

    • - 수상 이력 쉐어: 합류 후 새롭게 도전하는 공모전/지원 사업 등

    • - 빠른 조인 및 배포 가능:

      • (1) Figma를 활용한 상세한 기획안 존재

      • (2) MVP TEST를 위한 체험단 인력 확보 완료

      → 즉각적인 성과지표 창출과 속도감 있는 진행이 가능합니다.

    • ※ 1~2개월 내 속도감 있는 개발과 협업으로 성과를 얻어가실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원자 기재 사항]

    • - 개발 포트폴리오

    • - 업무 협업 경험 및 경력사항

    빠르고 실질적인 업무 성과를 만들어내는 피어링 팀, 함께하시면 후회하지 않게 해드리겠습니다.

    project_news_title

    • no_news_yet

    member

    projectTypeString2.01 waiting_apply

    프로젝트 apply

    leader_info

    peering

    peering

    leader_authrespond_rateno_respond_rate

    period

    25.10.20 ~26.04.20  (183day)

    field

    projectIndustryString.17

    following_people 0people_count